맨위로가기

In Through the Out Door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n Through the Out Door》는 1979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레드 제플린의 아홉 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은 밴드의 어려움을 반영하여, 존 폴 존스와 로버트 플랜트의 영향력이 커지고 지미 페이지와 존 본햄의 참여가 줄어든 가운데 제작되었다. 앨범의 커버는 6가지 버전으로 제작되었으며, 힙노시스가 디자인했다. 발매 직후 빌보드 200 차트에서 7주 동안 1위를 차지하는 등 상업적으로 성공했으나,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신시사이저 사용에 대한 호불호가 갈렸다. 2015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드 제플린의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레드 제플린의 음반 - Led Zeppelin II
    레드 제플린의 두 번째 정규 앨범인 Led Zeppelin II는 바쁜 투어 일정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Whole Lotta Love"를 비롯한 강렬하고 실험적인 사운드로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장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 1979년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979년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 영국의 음악 그룹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영국의 음악 그룹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In Through the Out Door - [음악]에 관한 문서
앨범 정보
Led Zeppelin - In Through the Out Door 앨범 커버
1979년 오리지널 바이닐 릴리스의 6가지 그림 슬리브 변형 중 하나이며, 디지털, 2010년대 바이닐 재발매, 2015년 리마스터에도 사용됨. 힙노시스 커버
오리지널 종이 봉투 슬리브
오리지널 바이닐 릴리스의 종이 봉투 슬리브 변형 중 하나. 스탬프 로고는 오리지널 테이프 릴리스 및 2015년 리마스터의 앞면 커버의 일부로 사용됨.
유형스튜디오 앨범
아티스트레드 제플린
발매일1979년 8월 22일
녹음일1978년 11월 - 12월
녹음 장소폴라 스튜디오, 스톡홀름, 스웨덴
장르하드 록
아트 록
길이42분 35초
레이블스완 송
프로듀서지미 페이지
싱글
싱글 1Fool in the Rain"/"Hot Dog
싱글 1 발매일1979년 12월 7일
평가
올뮤직AllMusic review
데일리 텔레그래프The Daily Telegraph
인기 음악 백과사전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뮤직하운드 록4/5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스매시 히트7/10
톰 헐 - 웹에서B+
빌리지 보이스B+
차트 성적
미국1위
영국1위
일본2위
인증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플래티넘
영국 축음기 협회 (BPI)플래티넘
이전/다음 앨범
이전 앨범The Song Remains the Same (1976)
다음 앨범Coda (1982)

2. 배경

1970년대 후반, 레드 제플린은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1977년, 로버트 플랜트의 아들 카락이 복부 감염증으로 사망하면서 밴드는 큰 슬픔에 잠겼다.[69] 밴드는 세금 문제로 영국을 떠나야 했고, 이는 그들의 활동에 큰 제약을 가했다.[5] 이러한 상황은 앨범 제목인 "In Through the Out Door"(바깥 문을 통해 안으로)에 반영되었는데, 이는 밴드가 다시 대중의 관심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어려움을 상징한다.[5]

밴드는 1978년 9월부터 자료를 만들기 위한 리허설을 시작했고, 6주 후에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폴라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진행했다.[22] 이전 레드 제플린의 음반들과는 달리, 《In Through the Out Door》는 베이시스트이자 키보디스트인 존 폴 존스와 보컬 로버트 플랜트의 영향력이 더 컸다. 반면, 드러머 존 본햄과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는 상대적으로 참여가 적었는데, 이는 존 본햄이 알코올 중독으로, 지미 페이지는 헤로인 중독과 싸우고 있었기 때문이었다.[6] 존스는 "그때쯤에는 두 개의 뚜렷한 진영이 있었고, 우리[플랜트와 나]는 비교적 깨끗한 진영에 있었다"고 회상했다.[7] 많은 곡들이 낮에 플랜트와 존스에 의해 조합되었고, 밤늦게 페이지와 본햄이 그들의 부분을 추가했다.[8] 존스는 야마하 GX-1 신시사이저를 구입한 후 새로운 재료를 만들도록 영감을 받았으며, "로버트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었는데, 전에는 없었던 일"이라고 밝혔다.[9]

폴라 스튜디오에서의 녹음 세션 이후, 이 음반은 플럼튼에 있는 페이지의 개인 스튜디오에서 혼합되었다.[2] 〈Wearing and Tearing〉, 〈Ozone Baby〉, 〈Darlene〉은 이번 음반 세션에서 녹음되었으나 공간 제약으로 인해 삭제되었다. 이 곡들은 모두 나중에 《Coda》에 수록되었다.[62]

3. 녹음

밴드는 1978년 9월에 자료를 리허설하기 시작했고, 6주 후 스웨덴 스톡홀름의 폴라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시작했다.[22][49] 이전 레드 제플린 앨범들과는 대조적으로, ''In Through the Out Door''에서는 베이시스트 겸 키보디스트 존 폴 존스와 보컬리스트 로버트 플랜트의 영향력이 훨씬 더 커졌으며, 드러머 존 보넘과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이들은 종종 녹음 스튜디오에 제시간에 나타나지 못했는데, 보넘은 알코올 중독으로 고생했고 페이지는 헤로인 중독과 싸우고 있었다.[6] 존스는 "그때쯤에는 두 개의 뚜렷한 진영이 있었고, 우리[플랜트와 나]는 비교적 깨끗한 진영에 있었다"고 회고했다.[7]

존 폴 존스는 이 앨범 제작에 신시사이저의 최고봉인 야마하 GX-1을 도입했다.[49] 전작 프레즌스에서는 키보드가 사용되지 않았지만, 이번 앨범에서는 전곡에서 존스의 키보드가 사용되었다. 존스는 야마하 GX-1에 영감을 받아 "이전에는 없었던 로버트와 긴밀하게 협력"하게 되었다.[9] 많은 곡들이 낮에는 플랜트와 존스에 의해 함께 만들어졌고, 페이지와 보넘은 늦은 밤에 그들의 파트를 추가했다.[8][48]

폴라에서의 녹음 세션 이후, 앨범은 페이지의 개인 스튜디오인 플럼턴 플레이스 (Plumpton Place)가 있는 플럼턴, 이스트 서섹스 (Plumpton)의 그의 집에서 믹싱되었다.[2] 믹싱은 1979년 2월에 완료되었다.[49]

이 앨범 세션 동안 녹음되었지만 공간 제약 때문에 제외된 "Wearing and Tearing", "Ozone Baby", "Darlene"은 나중에 코다에 수록되었다.

4. 음악적 특징

《In Through the Out Door》는 이전 앨범들과 달리 신시사이저 사운드가 두드러지며,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은 곡들이 수록되었다. 존 폴 존스는 7곡 중 6곡의 작곡에 참여하여 앨범의 음악적 방향을 주도했다.[49] 특히 야마하 GX-1 신시사이저를 도입하여 전곡에 키보드를 사용했다.[49]


  • 〈저녁의 노래 (In the Evening)〉: 앨범의 시작을 알리는 곡으로, 강렬한 기타 리프와 몽환적인 분위기가 특징이다. 지미 페이지는 기즈모트론 효과를 사용했다.
  • 〈South Bound Saurez〉: 존스의 피아노 연주가 돋보이는 곡으로, 뉴올리언스의 분위기를 연상시킨다.
  • 〈레인의 바보 (Fool in the Rain)〉: 삼바 리듬이 가미된 곡으로, 레드 제플린의 실험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 〈핫 도그 (Hot Dog)〉: 로커빌리 컨트리 스타일의 곡으로, 엘비스 프레슬리리키 넬슨의 영향을 받았다.
  • 〈Carouselambra〉: 10분이 넘는 대곡으로, 다양한 음악 스타일이 혼합된 실험적인 곡이다. 테크노팝풍의 곡으로 평가받기도 한다.[57]
  • 〈All My Love〉: 로버트 플랜트가 아들 카락에게 바치는 곡으로, 서정적인 멜로디와 가사가 특징이다.
  • 〈I'm Gonna Crawl〉: 블루스 스타일의 곡으로, 1960년대 소울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윌슨 피켓과 오티스 레딩의 스타일로 편곡되었다.


이 앨범은 기타가 아닌 신시사이저를 주체로 한 사운드에 대해 기존 팬들의 반발도 있었지만,[56] 1980년대의 음악을 앞서간 곡도 있어, 두비 브라더스처럼 새로운 모습을 예감하게 하는 것이었다.[52]

5. 커버 아트

이 음반의 커버 아트는 힙노시스의 스톰 소거슨이 디자인했다.[74] 1980년, 힙노시스는 《In Through the Out Door》로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패키지 음반상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75]

오리지널 음반 커버는 평범한 갈색 종이 가방처럼 생겼으며, 안쪽 슬리브는 물에 닿으면 영구적으로 색이 변하는 흑백 삽화가 있었다. 6개의 서로 다른 커버는 모두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 있는 올드 압생트 하우스를 재현한 런던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바에서 이별 편지를 태우는 남자의 같은 장면을 다른 관점에서 묘사했다.[10] 앨범 구매자들은 겉면의 갈색 종이 슬리브 때문에 어떤 커버를 받게 될지 알 수 없었다.

힙노시스의 스톰 소거슨은 이 디자인에 대해 "앨범의 사운드에 딱 맞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렇게 했다"고 말했다. 모델을 맡은 남자는 소거슨의 친구라고 한다. 갈색 종이 봉투에 넣는다는 아이디어는 피터 그랜트가 "제플린이라면 갈색 종이 봉투에 넣어도 팔릴 것이다"라고 말해서 "그대로 해줬더니 그의 말대로 되었다"라고 한 것이다.[52]

6. 발매 및 반응

이 음반은 1979년 8월 15일에 발매되어 빌보드 차트 2주째에 1위에 올랐으며, 발매 며칠 만에 170만달러이 팔렸다.[76] 앨범 발매와 함께 레드 제플린의 모든 앨범이 1979년 10월 23일부터 11월 3일 사이에 빌보드 200에 다시 진입하는 전례 없는 기록을 세웠다.[76] 이 앨범은 7주 동안 미국 최고 자리를 지켰고, 1979년 9월 말까지 300만달러이 팔렸다.[76]

1977년 로버트 플랜트의 아들 카라크의 사망[76]과 밴드가 영국에서 겪은 세금 회피 이후의 어려움을 묘사하기 위해 밴드에 의해 앨범명이 명명되었다.[5]

1980년 1월, 〈Fool in the Rain〉이 싱글로 발매되어 음반을 홍보하였으나, 싱글 차트 상위 20위 안에 들지 못했다.[76]

《In Through the Out Door》는 ''레드 제플린 II''와 함께 차트 1위에 가장 오래 머문 레드 제플린 앨범이다. 현재까지 이 음반은 미국에서 600만달러이 팔렸다.

《In Through the Out Door》는 발매 당시 평론가와 레드 제플린 팬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했다. 어떤 이들은 신시사이저의 영향을 받은 음악이 진취적이라고 생각했지만, 다른 이들은 밴드가 헤비하고 빠른 사운드를 버렸다고 느꼈다.[20]

롤링 스톤의 앨범 리뷰에서 찰스 M. 영은 지미 페이지의 창의력이 감소하여 로버트 플랜트에게 좋은 재료가 거의 없었고, 플랜트의 가사는 무의미하며, 존 본햄의 드럼 연주는 과도하다고 평가했다. 멜로디 메이커의 크리스 본은 이 음반을 "전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비판했다. 반대로, NME의 저널리스트 닉 켄트는 이 앨범이 "잠재적인 출발점"이 더 들어볼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다.[21]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역시 빌리지 보이스에서 이 앨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9]

앨범 발매 후, 플랜트, 페이지, 본햄은 모두 이 앨범에 대한 유보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페이지는 2004년에 "우리는 ''In Through the Out Door'' 이후, 다시 하드하고 리프 기반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었다. 물론, 우리는 그 앨범을 만들 기회가 없었다"고 말했다.[25]

''In Through the Out Door''는 레드 제플린의 오리지널 멤버들이 모두 생존해 있는 동안 발매된 마지막 앨범이었다. 드러머 존 본햄은 다음 해인 1980년 9월 25일에 사망했다.

콜린 라킨은 그의 대중음악 백과사전(2006)에서 이 앨범을 밴드의 이전 음반의 "정의가 부족"하지만, "존 폴 존스가 통일 요인으로 부상한 강력한 컬렉션"이라고 평가했다.[15] 그러나 닐 맥코믹은 2014년 데일리 텔레그래프에서 밴드에 대한 회고에서 이 앨범을 밴드의 최악의 앨범으로 평가했다.[14]

7. 곡 목록

2015년에 재발매된 디럭스 에디션에 포함된 보너스 디스크의 수록곡은 다음과 같다.

2015년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
제목비고작사/작곡재생 시간
In the Evening영어러프 믹스지미 페이지, 로버트 플랜트, 존스6:53
Southbound Piano영어〈South Bound Saurez영어〉, 러프 믹스존스, 플랜트4:15
Fool in the Rain영어러프 믹스페이지, 플랜트, 존스6:08
Hot Dog영어러프 믹스페이지, 플랜트3:16
The Epic영어〈Carouselambra영어〉, 러프 믹스존스, 페이지, 플랜트10:48
The Hook영어〈All My Love영어〉, 러프 믹스플랜트, 존스5:51
Blot영어〈I'm Gonna Crawl영어〉, 러프 믹스페이지, 플랜트, 존스5:33


7. 1. 오리지널 앨범

A면
B면


7. 1. 1. Side one

곡 제목설명
In the Evening[35]
South Bound Saurez[35]
Fool in the Rain[35]
Hot Dog[35]


7. 1. 2. Side two

"Carouselambra"는 10분 길이의 곡으로, 존스의 키보드가 지배적이며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아우른다. 지미 페이지는 보통 라이브 공연에서만 사용하던 깁슨 EDS-1275 듀얼 넥 기타를 연주했다. 그룹은 존 보넘의 사망으로 취소된 북미 투어에서 이 곡을 라이브로 연주할 계획이었다.[49] 존스가 주도한 10분 이상의 테크노팝풍 곡으로, 수수께끼 같은 가사는 로버트 플랜트가 특정 인물을 향해 쓴 것이라고 한다.[57]

"All My Love"는 플랜트와 존스가 스튜디오에 처음 도착했을 때 작곡한 독특한 러브송이다. 카락에 대한 헌정곡으로, 1977년 북미 투어 중 사망했다. 존스는 이 곡 중간에 클래식에서 영감을 얻은 신시사이저 솔로를 연주했다.[49] 플랜트가 요절한 아들 카락에게 바친 발라드[58]로, 1980년 마지막 투어에서 선보였다.

"I'm Gonna Crawl"은 편안한 블루스 트랙이다. 플랜트는 이 곡을 1960년대 중반 소울 음악 스타일(예: 윌슨 피켓, 오티스 레딩)로 편곡했다. 존스는 스트링 신시사이저 편곡에 참여했다.[49] 존스가 주로 쓴 R&B풍 발라드이며, 보넘은 이 곡에서 플랜트의 가창을 "과거 최고의 퍼포먼스"라고 칭찬했다.[58]

7. 2. 2015년 디럭스 에디션 보너스 디스크


  • 〈In the Evening영어〉 (Rough Mix) (페이지, 플랜트 & 존스)
  • 〈SouthBound Piano영어〉 (South Bound Saurez영어 Rough Mix) (존스 & 플랜트)
  • 〈Fool in the Rain영어〉 (Rough Mix) (페이지, 플랜트 & 존스)
  • 〈Hot Dog영어〉 (Rough Mix) (페이지 & 플랜트)
  • 〈The Epic영어〉 (Carouselambra영어 Rough Mix) (존스, 페이지 & 플랜트)
  • 〈The Hook영어〉 (All My Love영어 Rough Mix) (플랜트 & 존스)
  • 〈Blot영어〉 (I'm Gonna Crawl영어 Rough Mix) (페이지, 플랜트 & 존스)

8. 참여자

wiki

참여자



프로덕션


9. 차트 성적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켄트 뮤직 리포트)[36]3오스트리아 앨범15캐나다 앨범1네덜란드 앨범20핀란드 앨범 (The Official Finnish Charts)[37]10독일 앨범9이탈리아 앨범 (무지카 에 디스치)[38]12일본 앨범 (오리콘)[39]2뉴질랜드 앨범1노르웨이 앨범14스페인 앨범 차트[40]5스웨덴 앨범6영국 앨범 차트1미국 빌보드 2001



''In Through the Out Door'' 재발매 주간 차트 성적
차트 (2015)최고
순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25
플랑드르 앨범25
왈로니아 앨범13
핀란드 앨범10
프랑스 앨범43
헝가리 앨범6
이탈리아 앨범26
포르투갈 앨범25
스코틀랜드 앨범10
스페인 앨범31
스위스 앨범17
영국 록 앨범 차트3



''In Through the Out Door''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79년)순위
뉴질랜드 앨범 (RMNZ)[41]16


10. 인증

''In Through the Out Door'' 앨범 인증[77][78]
지역인증
아르헨티나골드
오스트레일리아2× 플래티넘
헝가리골드
뉴질랜드2× 플래티넘
영국플래티넘
미국6× 플래티넘


참조

[1] Boxed set booklet The Complete Studio Recordings Atlantic Records
[2] 잡지 Led Zeppelin: Complete Album-By-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9-12-03
[3] 웹사이트 RIAA https://www.riaa.com[...]
[4] 웹사이트 Madonna, Ray Of Light, Single https://www.bpi.co.u[...] 2024-08-15
[5] 서적 Led Zeppelin: Celebration II: The 'Tight But Loose' Files Omnibus Press
[6] 학술지 Closing Time
[7] 잡지 The Long Shadow of Led Zeppelin https://www.rollings[...] 2006-08-10
[8] 학술지 The Secret Life of a Superstar 2007-12
[9] 잡지 Light and Shade 1998-01
[10] 웹사이트 In Through The Out Door (1979) Cover Variations https://gotledblog.w[...] 2024-08-15
[11] 서적 Eye of the Storm: The Album Graphics of Storm Thorgerson Sanctuary Publishing, Limited
[12] 웹사이트 Grammy Award for Best Album Package (Hipgnosis) – 27 February 1980 http://www.super70s.[...] Grammy 2009-02-10
[13] 웹사이트 In Through the Out Door – Led Zeppelin https://www.allmusic[...] 2018-09-08
[14] 웹사이트 Led Zeppelin's albums ranked from worst to best https://www.telegrap[...] 2014-04-23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MUZE
[16]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17] 학술지 Albums 1979-09-20
[18] 웹사이트 Grade List: Led Zeppelin http://tomhull.com/o[...] n.d.
[19]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s://www.robertch[...] 1980-03-31
[20] 서적 Experiencing Led Zeppelin: A Listener's Companion Rowman & Littlefield
[21] 서적 No Quarter: The Three Lives of Jimmy Page Omnibus Press
[22] 잡지 In Through The Out Door https://www.rollings[...] 1979-10-18
[23] 웹사이트 Favorite Pop/Rock Album – 18 January 1980 http://www.rockonthe[...] rockonthenet
[24] 학술지 Apocalypse Then 1990-12
[25] 학술지 The Guv'nors' 2004-08
[26] Liner notes Led Zeppelin boxed set
[27]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8] 웹사이트 In Through The Out Door [Remastered] - Led Zeppelin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9] 잡지 Led Zeppelin Presence / In Through The Out Door / Coda 2015-08
[30] 웹사이트 Led Zeppelin: Presence / In Through the Out Door / Coda http://pitchfork.com[...] 2015-07-28
[31] 잡지 Review 2015-09
[32] 잡지 Led Zeppelin: Presence/In Through The Out Door/Coda (Deluxe Editions) 2015-09
[33] 잡지 Led Zeppelin Announce Final Three Deluxe Reissues https://www.rollings[...] 2015-06-03
[34] 웹사이트 Led Zeppelin: In Through the Out Door (Deluxe Edition) https://www.popmatte[...] 2015-09-22
[35] Liner notes In Through the Out Door Swan Song Records
[36]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37]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38]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3-07-08
[39]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40] 서적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Fundación Autor-SGAE 2005-09-00
[41] 웹사이트 Top Selling Albums of 1979 — The Official New Zealand Music Chart https://aotearoamusi[...] Recorded Music New Zealand 2022-01-28
[42] 웹사이트 Led Zeppelin Discos de oro y platino https://web.archive.[...]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2023-02-23
[43] 서적 The Complete New Zealand Music Charts: 1966–2006 Maurienne House
[44] 웹사이트 Led Zeppelin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45] 웹사이트 ChartArchive - Led Zeppelin http://chartarchive.[...]
[46] 서적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 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
[47]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48]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 Q 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49]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0] 서적 天才ギタリスト ジミー・ペイジ 完全版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1]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2]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 Q 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3]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4] 웹사이트 Top 200 Albums | Billboard: http://www.billboard[...]
[55] 웹사이트 in+through+the+out+door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56]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 Q スペシャル・エディション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7]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8] 서적 レッド・ツェッペリン―幻惑されて―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59] 영상설명 The Complete Studio Recordings Atlantic Records
[60] 웹사이트 AllMusic review https://www.allmusic[...]
[61] 웹사이트 Led Zeppelin's albums ranked from worst to best https://www.telegrap[...] 2014-04-23
[62]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MUZE
[63]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64]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65] 저널 Albums
[66] 웹사이트 Grade List: Led Zeppelin http://tomhull.com/o[...] 2020-07-18
[67] 뉴스 Christgau's Consumer Guide https://www.robertch[...] 2017-04-22
[68] 웹사이트 Led Zeppelin: Complete Album-By-Album Guide https://www.rollings[...] 2019-12-03
[69] 서적 Led Zeppelin: Celebration II: The 'Tight But Loose' Files Omnibus Press
[70] 저널 Closing Time
[71] 저널 The Long Shadow of Led Zeppelin https://www.rollings[...] 2006-08-10
[72] 저널 The Secret Life of a Superstar 2007-12-01 #날짜 정보가 월까지만 제공되므로 1일로 설정
[73] 간행물 Light and Shade 1998-01-01 #날짜 정보가 월까지만 제공되므로 1일로 설정
[74] 서적 Eye of the Storm: The Album Graphics of Storm Thorgerson
[75] 웹인용 Grammy Award for Best Album Package (Hipgnosis) – 27 February 1980 http://www.super70s.[...] Grammy
[76]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 Jenkins
[77] 웹인용 Led Zeppelin Discos de oro y platino http://www.capif.org[...]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78] 서적 The Complete New Zealand Music Charts: 1966–2006 Maurienne Ho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